쏠 제로페이와 제로페이 모바일 상품권 할인구매 및 사용법

쏠 제로페이와 제로페이 모바일 상품권 할인구매 및 사용법

제로페이는 소상공인 결제 수수료 부담 완화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 은행과 민간 간편결제 사업자가 협력하여 출시한 공동 QR코드 방식의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입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재난지원금 지급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 전국 제휴점 수는 약 60만개소이며 이용자 수는 1,400만명20년 4월말 기준 이상으로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시에서는 21년 6월 말까지 한시적으로 소득공제율을 80로 상향하였습니다.

이렇게 대부분의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는 제로페이이지만 아직까지도 어떻게 사용하는지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제로페이 사용법에 관하여 소개하고자 합니다.


imgCaption0
비대면 결제 방법

비대면 결제 방법

비플제로페이 사용법 두 번째는 비대면 결재입니다. 요 비대면 결재가 제법 쏠쏠한 기능입니다. 비대면 결재는 배달 주문을 시켰을 때, 요긴하게 쓸 수 있어요. 가게에 전화로 비대면 결재 할게요, 하고 배달 주문을 하고 결재를 하면 됩니다.

이 기능은 최근에야 알았는데, 일반 배달어플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아직까지 많이 쓰지 않아서 가맹점이 다양하지 않고, 가게에 미리 이야기하는 과정이 약간 번거롭다는 불편함은 있습니다.

온누리상품권 장단점

온누리상품권은 전국 전통시장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대형마트나 편의점에서는 사용을 할 수 없습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과 지역 상점가의 활성화를 위해 도입되어진 제도이기 때문입니다. 온누리상품권의 자세한 사용처는 소상공진흥공단이 운영하고 있는 온누리마켓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 온누리상품권은 개인 구매한도가 매월 50만 원으로 매월 구매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부부가 개별적으로 구매하면 매월 백만 원까지 구매할 수 있고, 구매 후 주로 활용하는 사람에게 선물하기를 하면 한 사람이 구매한 구입한 구입한 거나 다름없습니다.

제로페이 사용법

제로페이는 각 은행이 도와주는 앱이나 비플제로페이 같은 핀테크 기업이 도와주는 어플을 깔고 회원가입을 하고 입출금 예금잔고 연동을 한 후에 제로페이 상품권의 종류를 선택해서 구매하고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사용하면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은행 어플이 사용법에 있어 불편하여 비플제로페이 어플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은행 앱보다. 가볍고 반응도 훨씬 빠른 거 같아 쓰기에 편합니다. 매장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 제로페이 결재 사용법을 말씀드리면, 상품을 구매 후 어플을 열고 제로페이 모바일상품권 구입결제를 선택하고 진행하면 되는데요. 제로페이 사용법은 점원에게 QR 코드는 보여주는 방식편의점과 가게의 QR코드를 스캔한 후에 가격을 입력한 후 점원에게 보여주는 방식주로 전통시장, 두 가지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편의점에서 활용하는 전자의 방식이 조금 더 편한 것 같습니다.

제로페이 혜택 및 할인

제로페이는 근로소득자의 경우 연말정산시 30의 높은 소득공제를 받게 됩니다.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이 15 인것에 비교하면 두 배의 절세효과가 나게 됩니다. 가맹점에서 누리는 혜택은 연 수익 3억이하의 사업자의 경우 카드로 매출발생시 수수료를 내야하는 반면 제로페이 가맹점으로 등록된 소상공인의 경우 수수료없이 100 매출이 된다는 점입니다. 제로페이 이용자는 소득공제 받아서 좋고, 가맹점은 수수료 없어서 좋은 제로페이할인입니다.

비플제로페이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1일 이벤트

이 글을 작성하느라 비플제로페이 홈페이지에 들어갔더니,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3만 원 이상 첫 구매하면 1일 기념 최대 100만 원 선물 이벤트가 공지되어 있었습니다. 기간은 2022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니까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하신 적이 없으신 분들에게는 좋은 소식입니다. 1등에게는 1백만원, 역시 1명에게만 행운이 주어지는 대박 기회다. 30명에게는 LF디지털상품권 5만 원, 500명에게는 CU 모바일 상품권 3천 원을 선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