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 E유형(사업이익 단순경비율 적용 근로소득) 2022년 종합소득세 신고

종합소득세 E유형(사업이익 단순경비율 적용+근로소득) 2022년 종합소득세 신고

저는 5월 1일을 맞아 누구보다. 급속도로 종합소득세와 지방소득세 신고와 납부를 마쳤습니다. 왜냐하면. 왼쪽 아이가 빵끗 웃고 있을 때 마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아참 근로장려금 신청도 심심하면 눌러 봅시다. 연락이 안 왔으면 거의 다. 떨어지겠지만 자신이 국세청에 파악된 소득을 종류별로 쭉 구경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나 벌었는데 왜 통장은.?하는 현타도 옵니다. 전 기타소득 금융소득 등등이 있군요 저는 작년에 사업자등록을 한 신규사업자로서 단순경비율이 적용되고, 5월부터 12월까지 근로소득액이 있었기 때문에 E유형으로 분류됩니다.

퇴직을 하고 프리랜서가 된 사람들, 혹은 프리랜서였다가 취직을 한 사람들, 혹은 투잡으로 개인일을 뛰는 직장인 모두 이 유형에 해당될 가능성이 큽니다.


추계신고 시 소득금액 계산 기준경비율 적용
추계신고 시 소득금액 계산 기준경비율 적용

추계신고 시 소득금액 계산 기준경비율 적용

추계신고 시 사업소득금액을 구출하는 방법은 단순경비율, 기준경비율 적용에 따라 다릅니다. 총 수입이 업종별 기준금액보다. 적은 경우 단순경비율 적용을 하며, 총 수입이 업종별 기준금액보다. 많은 경우 기준경비율 적용합니다. 기준경비율 적용 대상자의 사업소득금액을 구출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두 가지 방안으로 소득금액을 계산 후, 그중 적게 나오는 값을 택합니다.

업종코드 701201 임대사업자의 기준경비율은 16 로 정해져 있습니다.

수입금액 7,000만 원단순경비율 41.5기준경비율 17.6배율간편장부대상자 2.8배첫 차례 방안으로 사업소득금액을 구하면 7,000 7,000 times 0.415 times 2.8 7,000 2,905 times 2.8 4,095 times 2.8 11,466만 원입니다. 두 차례 방안으로 사업소득금액을 구하면 7,000 7,000 times 0.176 필요경비 7,000 1,232 필요경비 5,768 필요경비입니다.

프리랜서는 종합소득세 신고
프리랜서는 종합소득세 신고

프리랜서는 종합소득세 신고

근로소득자는 회사에서 근로소득에 관해 다음해 2월에 연말정산을 해주지만, 사업소득자인 프리랜서는 스스로가 직접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때 사업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때 프리랜서 소득 외에 근로소득액이 있거나, 기타소득액이 있다면야 전부 합산해서 신고하면 됩니다. 장부를 작성하지 않아도 국가에서 무조건적으로 비용을 인정해주는 제도로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이 있습니다. 단순경비율 국가에서 정한 일정비율을 적용하여 소득을 계산하며, 업종코드에 따라 소득금액의 6080까지도 비용으로 인정됩니다.

기준경비율 인정받을 수 있는 경비율이 소득금액의 1030으로 작습니다.

공제내역 입력
공제내역 입력

공제내역 입력

국민연금보험료도 자동으로 등록되며, 특별공제와 일반공제는 함께 받을 수 없으므로 둘 중 하나를 선택 해야 합니다. 일반공제는 13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특별공제로 더 공제되는 것이 많습니다.면 특별공제로 하셔도 됩니다. 대신 일반공제에 들어가는 금액은 다. 0으로 입력 후 처리해야 합니다. 저는 일반공제로 하기 때문에 특별공제 연관 내역은 입력하지 않았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제출 전, 다시 한번 확인 후 신고서 제출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무조건적으로 제출이 되는 것은 아니며, 사람마다. 소득세 신고 작성 중 문제가 있는 경우는 오류가 뜰 수도 있습니다. 오류 메모를 확인 한 후 재수정 한 뒤 다시 제출 하시면 됩니다.

▼ 아래와 같이 접수된 접수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인지방소득세는 별도 신고해야 한다고 합니다. 신고내역 조회(접수증)를 클릭합니다.

단순경비율 적용 사례

전년도에 수입급액이 2,000만 원이었고 올해 4,000만 원 이라면 단순경비율로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단순경비율은 업종에 따라 다르지만, 프리랜서의 경우 약 6070 정도입니다. 60로 가정해본다면 단순경비율 인정 금액 4,000만원 x 60 2,400만원

4,000만원에서 2,400만원을 뺀 나머지 1,600만원이 내 소득 금액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