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퇴직금 지급 기준과 세전 계산기 및 세금계산 방법(퇴직소득세, 세전, 세후)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매달마다. 월급을 받습니다. 이런 월급을 급여라고도 하는건 누구나 다.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급여나 월급이 어떠한 방법으로 계산되어져 지급되는지 알고 계신지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급여가 어떠한 방법으로 계산되는지와 주휴수당이 어떠한 방법으로 계산되는지까지 함께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월급을 받는 직장인들이 본인 급여를 직접 계산하는 일은 드물고 번거로운 일입니다. 하지만 급여계산기를 통해 자신의 급여가 정상적으로 지급되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얼마의 급여를 더 받아야 될지 목표를 세우는데 도움이 될수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직장인들은 한달에 한번 급여를 지급받게 되어있고, 특수한 경우에 주급이나 시급으로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실업 수당 신청하는 방법
1. 각 관할 고용복지센터 창구에 가서 실업급여수급자격 신청를 직접 신청합니다. 2. 수급자격 지원자 오프라인 교육과정을 듣거나 고용보험 홈페이지 아니면 모바일앱으로 수급자격 지원자 온라인 교육과정을 지원하셔서 수강합니다. 3. 2번 단계를 완료한 신청자는 2주 뒤 1차 실업인정교육과정을 온라인으로 수강하거나 오프라인으로 수강한 후, 실업인정 신청을 하여 구직급여를 이체받을 통장정보를 기입합니다. 이때 지정된 날짜에 꼭 실업인정교육과정을 수강해야 실업인정이 승인됩니다.
4. 3번의 단계를 완료하면 취업희망카드를 오프라인으로 발급하거나 온라인으로 조회합니다. 5. 각 차수에 해당하는 실업인정일을 확인하여 지정된 날짜에만 실업인정 신청을 합니다. 고용보험 홈페이지 실업 수당 메뉴에 실업인정 인터넷 신청을 클릭하여 신청합니다.
소득세, 지방소득세 계산
아래부터 원천공제를 하나씩 해야됩니다. 원천공제라는 것은 국가에서 소득자 한명 한명한테 얼마씩 내라고 고지하고 납부받고 확인하는 것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소득을 지급하는 곳에서 먼저 세금을 떼어서 납부하는 것을 말합니다. 원래는 근로자가 납부해야되는 소득세나 지방소득세, 4대보험료 회사에서 먼저 떼어서 대신 납부를 하는 것입니다. 방금 얘기했듯이 근로소득자를 기준으로 하면 소득세, 근로소득세, 4대보험료에 이에 해당합니다.
근로소득세 계산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서 찾기지방소득세 계산 근로소득세 X 10그리고 첫번째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계산해야 됩니다. 소득세는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보고 자기 소득에 연관된 금액을 찾으면 됩니다.
실업 수당 산정과 구직급여의 소정일 수
아래의 표를 참고하면 50세 미만이면 기본적으로 구직급여의 급여일수가 50세 이상보다. 적습니다. 저는 1년 이상 3년 미만에 해당하여 150일을 산정받았습니다. 실업 수당 액수는 상한액과 하한액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구직급여를 산정할 때 1일 최대로 받을 수 있는 급액은 66,000원으로 최저시급기준 8시간 근무했다고 가정했을 때보다는 낮은 급액을 지급받게 됩니다. 얼마 전 뉴스에서 실업 수당 액수가 자신의 월급보다.
높다는 기사를 접해서 링크 걸어봅니다. 결국 자신의 실업급여와 여러 가지 정부지원금을 합한 소득액이 자신의 월급보다. 높다는 이야기이며, 실업 수당 하나만으로는 최저시급보다. 높은 시급을 적용하여 받을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대보험료 계산
다음은 4대보험료 계산입니다. 4대보험료는 과세 면제 급여에 각 보험별 정해진 요율을 곱하면 됩니다. 보수월액, 기준소득월액이라고 되어있는 것은 각 공단에 신고된 과세급여 금액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제대로 따지면 기준소득월액은 국민연금 공단에 신고한 소득월액에서 천원미만을 절사한 금액이긴 합니다. 아무튼 모두 월 보수 중 비과세를 제외한 금액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이곳에서 국민연금의 경우, 월보수 상한액이 590만원입니다.
만약 본인의 월보수비과세가 590만원을 넘으면 590만원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그리고 산재보험은 근로자 부담액이 없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취업희망카드에 나와있는 고용보험 수급자격증과 실업인정 대상기간
아래의 사진은 온라인 취업희망카드 내용입니다. 이직일, 수급자격 신청일, 수급기간이 철저히 나와 있고 혹시나 구직급여를 수급받다가 재취업할 경우 남은 구직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소정급여일수 1/2 시점이 지나지 않아야 합니다. ) 실업인정 대상기간도 철저히 안자신이 되어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실업인정일 그 날짜에만 해당 회차의 실업인정 서류를 제출할 수 있다고 해서 실업인정일 날짜를 확인해 두었다가 그날에 반드시 제출하도록 해야 합니다.